고전과 역학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전과 역학

Total 108건 1 페이지
고전과 역학 목록
번호 제목 / 내용
108 강론-講論
장생술과 천지공사 오행에서 만물이 生하고 만물에는 장생하는 十長生이 있으니 장생도 또한 오행에서 생한다. 무극시태극无極是太極이니 태극에서 음양하고 음양에서 오행하니 오행은 만萬하는데 여동빈은 빗 값으로 만 냥이라 하지 않고 천 냥이라 하였음은 어찌 된 연고인가? 그것은 오행에서 변하지 않는 것이 있으니 . . .
107 강론-講論
삼인동행(三人同行)과 천지공사 삼인동행三人同行은 세 사람의 동행을 나타내는데 다른 한편으로 세 분이 함께했다는 내용이다. 天은 一하고 地는 二하고 人은 三하니 삼인三人은 人에서 三이 되는 역수易數가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또 하늘은 一하므로 요임금은 天一하니 순임금에게 계시 종통하시고, 순임금은 地二하니 순· . . .
106 강론-講論
개명(開明)과 천지공사 개명開明은 밝음이 열렸다는 뜻이 되니 하루에 낮과 같고 일 년에 여름과 같으므로 12지지로는 사오미巳午未를 개명이라 한다. 인묘진寅卯辰은 아침과 같으므로 일출日出하고 계절로는 봄이 되니 천간으로 을乙이요, 봄은 시작이 되므로 사부지事不知라 한 것이다. 사오미巳午未은 낮과 같으므로 일정日 . . .
105 강론-講論
길흉吉凶 도수와 천지공사 길吉은 폄이니 신神이 되고, 흉凶은 굽힘이니 귀鬼가 된다. 기氣가 다가오는 것은 다 양에 속하니 신神이고, 기氣가 되돌아가는 것은 다 음에 속하니 귀鬼이다. 오전은 신이고, 오후는 귀이다. 초하루 이후는 신이고, 십육 일 이후는 귀이다. 초목이 바야흐로 생겨나는 것은 신이고, 시들어 떨 . . .
104 강론-講論
聖父 聖子 聖身과 천지공사 군주君主는 내 부모의 종자宗子이고 대신大臣은 종자의 가상家相이다. 건乾을 아버지라고 하고 곤坤을 어머니라고 하며, 천하 사람들은 그 속에서 생겨나니 천지의 자식이다. 천지를 계승하여 사람과 만물을 다스리는 사람은 군주가 되니 부모의 종자가 된다. 군주를 보좌하여 뭇 일에 기강을 세우는 . . .
103 강론-講論
오운회(五運回)과 천지공사 만물은 오행에서 생生하고, 오행은 음양에서 생하며, 음양은 태극에서 생하니 동動 태극하고, 정定 무극한다. 태극에서 오행하니 태극이황극太極而皇極이요 태극은 마음에서 발현되는 성리性理이니 오행의 성性은 인의예지신이 된다.오운五運은 토운土運, 목운木運, 화운火運 금운金運 수운水運이 되고, . . .
102 강론-講論
종시(終始)와 천지공사 「설괘전」에서 종만물시만물자終萬物始萬物者는 막성호간莫盛乎艮이라 하여 만물을 끝마치고 만물을 시작하는 것으로는 간艮만큼 성한 것은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만물지소성종萬物之所成終 이소성시야而所成始也 고故로 왈성언호간曰成言乎艮’이라 하여 만물은 이곳에서 끝을 이루고, 이곳에서 처음을 이루 . . .
101 강론-講論
오주(五呪)와 천지의 진액 태호복희가 하도(河圖)의 그림을 태극과 팔괘로 처음으로 획을 그으면서 역학(易學)은 시작되었다. 하도는 씨앗의 상(象)이 되니 앞으로 드러나게 되는 역수(易數)를 품고 있다.하도(河圖)하도의 그림을 보면, 중앙에 五는 사방으로 펼치는 五가 되니 중앙에 있는 하나에서 동서남북으로 하나씩 . . .
100 강론-講論
선·후천의 변화와 교역 선·후천의 변화는 음양의 변화로 인한 합덕을 말한다. 음양의 변화를 역(易)의 변화라고 말하고, 이러한 역(易)을 공부하는 이유는 선·후천의 변화로 인해서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역(易)이 미리 말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12지지에서 방위가 같은 것끼리 모인 것을 지지방합(地支 . . .
99 강론-講論
도통과 팔음(八音) 팔음(八音)을 분류하면, 금(金), 석(石), 사(絲), 죽(竹), 포(匏), 토(土), 혁(革), 목(木)이 되고, 쇠로 만든 악기는 종(鍾)과 박(鎛)이고, 돌로 만든 악기는 경(磬)이고, 실로 만든 악기는 금(琴)과 슬(瑟)이고, 대나무로 만든 악기는 관(管)과 소(簫)이고, 박으 . . .
98 강론-講論
율려(律呂)와 천지공사 천수(天數)는 1 3 5 7 9가 되고 중수(中數)가 5가 되니 오음(五音)인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는 천수의 중수에서 유래되었고, 지수(地數)는 2 4 6 8 10이 되고 중수(中數)가 6이 되니 6율은 지수에서 유래되었고 6율은 6율과 6려의 줄임말로 12율을 의미한다. 12율의 양 . . .
97 강론-講論
도통의 연원(淵源) 용도(龍圖)는 무극에서 태극으로 발전하는 것이 되니 생(生)인 씨앗이 되고, 귀서(龜書)는 태극에서 황극으로 발전하는 것이 되니 장(長)이 되고, 용담(龍潭)은 황극에서 무극으로 발전하는 것이 되니 성(成)인 열매가 된다. 그러므로 용도(龍圖)는 무극이태극(无極而太極)하니 수(數)로는 . . .
96 강론-講論
부활과 가활만인 계란(鷄卵)이 가지는 부화의 의미와 부활의 의미가 연결이 되어 부활절에 계란을 나누어 주는 관례가 생겼다. 또 봄의 여신은 계란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있다. 역학으로 보면, 봄의 여신은 손(巽) 장녀가 되고, 손(巽)에 용(龍)인 진(辰)이 있어나 후천도수가 되니 동서가 바뀌어서 서쪽에 . . .
95 강론-講論
도통과 만국대장 선천에는 모사(謀事)는 사람에게 있고 성사(成事)는 하늘에 있다고 했다. 하늘이 일을 이루었으니 역사는 알고 보면 하늘의 역사가 된다. 역사를 통해서 도를 알 수 있다고 한 것이 이러한 연유에서 비롯됨인가? 일월이 허영(虛盈)하고 사시(四時)가 불특(不忒)하니 성인이 역을 만들었음이라. . . .
94 강론-講論
해인(海印)과 해도진인(海島眞人) 천지자연의 이치는 일월(日月)에서 찾을 수 있고, 일월의 법칙을 역(易)이라 하니 역(易)은 곧 도의(道義)가 된다. 이미 이루어진 인간의 본성을 보존하고 보존하기 위해 성인이 역(易)을 만들어 일월의 법칙을 가르쳤다. 그리고 역을 변역(變易)이라 하는 것은 생(生)하고 장(長)하고 성 . . .

검색


T. 010-3402-1567 E. lifeyou11@naver.com Copyright © jingo.co.k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