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과 역학 6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전과 역학

Total 84건 6 페이지
고전과 역학 목록
번호 제목 / 내용
9 강론-講論
진술축미(辰戌丑未)와 호토용사(虎兎龍蛇) 오행의 변화는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가 되고 숫자로는 3·8木, 2·7火, 5·10土, 4·9金, 1·6水가 된다. 생수(生數)는 一 二 三 四 五하고 성수(成數)는 六 七 八 九 十한다.생수(生數)의 변화성수(成數)의 변화중앙 토(土)가 사방으로 변화하면, 12지지에는 토(土)인 진 . . .
8 강론-講論
좌선하는 임(壬)자과 우선하는 무(戊) 좌선은 진행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돌아 천도(天道)의 운행이 되고, 우선은 반시계방향이 되어 지덕(地德)의 운행방향이 된다. 왼손은 좌선(左旋)을 상징하고 오른손은 우선(右旋)을 상징한다. 좌는 좌보성 또는 외보성을 상징하고, 우는 우필성 또는 내필성을 상징한다. 좌보성에는 제석궁 안에 있 . . .
7 강론-講論
해도진인(海島眞人) 해도진인(海島眞人)은 격암유록에서 나오는 용어가 된다. 비결로 풀이한 내용인데 바다의 섬은 해도(海島)가 되어 이것이 구체적으로 상징하는 것은 사람이다. 사람은 바다의 섬과 같은 존재이다. 그래서 후천 정역에서는 중앙에 육수(六水)가 자리를 잡게 된다. 육수(六水)가 해도진인(海島眞人 . . .
6 강론-講論
계룡(鷄龍) 양살음생(陽殺陰生) 음살양생(陰殺陽生)이 생살(生殺)의 道요, 음양의 변화이다. 양이 사라지면 음이 나오고, 음이 사라지면 양이 나온다. 즉 일월의 변화가 자연의 법칙이다. 볍씨에서 싹이 나와서 볍씨는 사라지고 싹인 모가 되고, 모가 자라서 나락가 나오고 짚은 사라지는 일련의 과정이 . . .
5 강론-講論
호토용사상회일(虎兎龍蛇相會日) 하도(河圖)에서 중앙은 五이고, 그 중앙은 一이 된다. 즉 중앙의 一이 東으로 一하고, 南으로 一하고, 西로 一하고 北으로 一해서 五가 된 것이다. 하도(河圖)의 중앙사방으로 배정된 내수(內數)를 보면, 동(東)으로 三, 南으로 二, 西로 四, 북으로 一이다. 내수의 합이 十 . . .
4 강론-講論
성산심로(聖山尋路) - 격암유록 성스러운 산을 찾는 길을 성산심로(聖山尋路)로 한다. 성스러운 산은 삼신산(三神山)을 말한다. 왜냐하면 삼신산(三神山)에서 소원하던 불로초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불로초를 찾는 길이 성산인 삼신산을 찾는 길이다. 保身者乙乙(보신자을을)保命者弓弓(보명자궁궁)人去處(인거처)四 . . .
3 강론-講論
원보공지탁 대호공천경(遠步恐地坼 大呼恐天驚) 상제께서 일곱 살 때에 어느 글방에 가셨는데 훈장(訓長)으로부터 놀랄경(驚)의 운자를 받고 「원보공지탁 대호공천경(遠步恐地坼 大呼恐天驚)」이라고 지으셨도다.- 典經 행록1장 12 - 일곱 살 때 지으신 내용으로 일곱 걸음걸이를 나타내고 있다. 원보공지탁(遠步恐地坼)은 멀리 발 . . .
2 강론-講論
선인포전(仙人布氈) 선인포전(仙人布氈)은 신선이 자리를 편다는 뜻이다. 왜일까? 신선이 자리를 펴니 십(十)을 지향하는 후천의 세상을 열기 위함이다. 바둑도수도 흑백이 모두 십(十)에 두고, 다섯 신선이 바둑을 둔다하여 오선위기(五仙圍碁)라 한다. 그리고 방장산과 시루산과 영주산과 뒤 기슭과 함께 선인포 . . .
1 강론-講論
삼신산(三神山) 이곳은 예로부터 봉래산(蓬萊山), 영주산(瀛洲山), 일명(一名) 신선봉(神仙峰) 방장산(方丈山)의 세 산이 삼신산(三神山)으로 불리어 오던 곳이로다. - 행록1장 2 - 봉래산(蓬萊山), 영주산(瀛洲山), 방장산(方丈山)이 삼신산이 된다. 또 봉래산은 모악산으로, 회문 . . .

검색


T. 010-3402-1567 E. lifeyou11@naver.com Copyright © jingo.co.k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