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법 2장 > 경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전

전경 교법 2장

페이지 정보

본문

교법(敎法) 2장

 

 

1. 상제께서 정미년 정월에 형렬에게 가라사대 “나의 말이 곧 약이라. 말로써 사람의 마음을 위안하기도 하며 말로써 사람의 마음을 거슬리기도 하며 말로써 병든 자를 일으키기도 하며 말로써 죄에 걸린 자를 풀어주기도 하니 이것은 나의 말이 곧 약인 까닭이니라. 충언이 역이로되 이어행(忠言逆耳利於行)이라. 나는 허망한 말을 아니하나니 내 말을 믿으라” 하셨도다.


2. 대인의 말은 구천에 이르나니 또 나의 말은 한 마디도 땅에 떨어지지 않으리니 잘 믿으라.


3. 최수운의 가사에 “도기장존 사불입(道氣長存邪不入)이라 하였으나 상제께서는 진심견수 복선래(眞心堅守福先來)”라 하셨도다.


4. 인간의 복록은 내가 맡았으나 맡겨 줄 곳이 없어 한이로다. 이는 일심을 가진 자가 없는 까닭이라. 일심을 가진 자에게는 지체없이 베풀어주리라.


5. 이제 범사에 성공이 없음은 한 마음을 가진 자가 없는 까닭이라. 한 마음만을 가지면 안 되는 일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무슨 일을 대하든지 한 마음을 갖지 못한 것을 한할 것이로다. 안 되리라는 생각을 품지 말라.


6. 진실로 마음을 간직하기란 죽기보다 어려우니라.


7. 나를 믿고 마음을 정직히 하는 자는 하늘도 두려워 하느니라.


8. 부귀한 자는 자만 자족하여 그 명리를 돋우기에 마음을 쏟아 딴 생각을 머금지 아니하나니 어느 겨를에 나에게 생각이 미치리오. 오직 빈궁한 자라야 제 신세를 제가 생각하여 도성 덕립을 하루 속히 기다리며 운수가 조아들 때마다 나를 생각하리니 그들이 내 사람이니라.


9. 너희들이 이제는 이렇듯 나에게 친숙하게 추종하나 후일에는 눈을 떠서 바로 보지 못하리니 마음을 바로하고 덕을 닦기에 힘쓰라. 동학가사에 “많고 많은 저 사람에 어떤 사람 저러하고 어떤 사람 그러한가”와 같이 탄식 줄이 저절로 나오리라.


10. 공우는 종도들이 모두 상투를 틀고 있는데 자신이 삭발하였기에 그들과 싸이기 어려우므로 불안하게 생각한 나머지 머리를 길러 솔잎상투에 갓 망건을 쓰고 다니다가 금구(金溝)를 지나던 어느 날 일진회의 전 동지 십여 명을 만나 그들의 조소를 받고 머리를 깎여 두어 달 동안 바깥 출입을 금하고 다시 머리를 기르는 중이었도다. 돌연히 상제께서 찾아오셔서 한동안 출입하지 않는 까닭을 물으시니 공우가 사실 그대로 아뢰이니라. 상제께서 이르시기를“나는 오직 마음을 볼 뿐이로다. 머리와 무슨 상관하리요.” 이 말씀을 하시고 공우를 데리시고 구릿골로 떠나셨도다.


11. 상제께서 종도들에게 “후천에서는 약한 자가 도움을 얻으며 병든 자가 일어나며 천한 자가 높아지며 어리석은 자가 지혜를 얻을 것이요. 강하고 부하고 귀하고 지혜로운 자는 다 스스로 깎일지라”고 이르셨도다.


12. 상제께서 이르시기를 “너희들이 항상 도술을 배우기를 원하니 지금 가르쳐 주어도 그것은 바위에 물주기와 같아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밖으로 흘러가니라. 필요할 때가 되면 열어 주리니 마음을 부지런히 하여 힘쓸지니라” 하셨도다.


13. 내가 비록 서촉에 있을지라도 일심을 가지는 자에게 빠짐 없이 찾으리라.


14. 이제 각 선령신들이 해원 시대를 맞이하여 그 선자 선손을 척신의 손에서 빼내어 덜미를 쳐 내세우나니 힘써 닦을지어다.


15. 나는 해마를 위주로 하므로 나를 따르는 자는 먼저 복마의 발동이 있으리니 복마의 발동을 잘 견디어야 해원하리라고 타이르셨도다.


16. 허물이 있거든 다 자신의 마음속으로 풀라. 만일 다 풀지 않고 남겨두면 몸과 운명을 그르치니라.


17. 사람마다 그 닦은 바와 기국에 따라 그 사람의 임무를 감당할 신명의 호위를 받느니라. 남의 자격과 공부만 추앙하고 부러워하고 자기 일에 해태한 마음을 품으면 나의 신명이 그에게 옮겨가느니라.


18. 모든 일에 외면 수습을 버리고 음덕에 힘쓰라. 덕은 음덕이 크니라.


19. 남이 나에게 비소하는 것을 비수로 알고 또 조소하는 것을 조수로 알아라. 대장이 비수를 얻어야 적진을 헤칠 것이고 용이 조수를 얻어야 천문에 오르나니라.


20. 사람들이 예로부터 “길성 소조(吉星所照)”라 하여 길성을 구하러 다니나 길성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니라. 때는 해원시대이므로 덕을 닦고 사람을 올바르게 대우하라. 여기서 길성이 빛이 나니 이것이 곧 피난하는 길이니라.


21. 믿는 자를 손가락으로 세어 꼽았으되 그 자가 배신하여 손가락을 펼 때에는 살아나지 못하리라.


22. 도를 닦은 자는 그 정혼이 굳게 뭉치기에 죽어도 흩어지지 않고 천상에 오르려니와 그렇지 못한 자는 그 정혼이 희미하여 연기와 물거품이 삭듯 하리라.


23. 전쟁사를 읽지 말라. 전승자의 신은 춤을 추되 패전자의 신은 이를 가나니 이것은 도를 닦는 사람의 주문 읽는 소리에 신응(神應)되는 까닭이니라.


24. 가장 두려운 것은 박람 박식(博覽博識)이니라.


25. 시속에 어린 학동에게 통감을 가르치는 풍습이 생겼나니 이것은 어릴 때부터 시비로써 성품을 기르려는 것이니 웅패의 술이로다. 어찌 합당하다 하리요.


26. 상제께서 항상 말씀하시기를 “서전(書傳)서문을 많이 읽으면 도에 통하고 대학상장(大學上章)을 되풀이 읽으면 활연 관통한다” 하셨느니라. 상제의 부친께서는 말씀하신 대로 많이 읽지는 못하였으나 끊임없이 읽었으므로 지혜가 밝아져서 마을 사람들의 화난을 덜어 준 일이 많았도다.


27. 어느 때 종도들이 모여있는 곳에서 상제께서 “선비는 항상 지필묵(紙筆墨)을 지녀야 하느니라”고 말씀하셨도다.


28. 김형렬이 출타하였다가 집에 돌아오는 길에 예수교 신자 김중구(金重九)가 술이 만취되어 김형렬을 붙들고 혹독하게 능욕하는지라. 형렬이 심한 곤욕을 겪고 돌아와서 상제께 사실을 아뢰니 상제께서 형렬에게 “청수를 떠 놓고 네 허물을 살펴 뉘우치라.” 형렬이 명하신 대로 시행하였도다. 그 후 김중구는 한때 병으로 인해서 사경을 해매였다고 하느니라. 이 소식을 형렬로부터 들으시고 상제께서 다시 그에게 충고하시기를“금후에 그런 일이 있거든 상대방을 원망하기에 앞서 먼저 네 몸을 살피는 것을 잊지 말지어다. 만일 허물이 네게 있을 때에는 그 허물이 다 풀릴 것이오 허물이 네게 없을 때에는 그 독기가 본 처로 돌아가리라” 하셨도다.


29. 종도 두 사람이 상제 앞에서 사담하기를 “남기(南基)는 일본말을 배우지 못함을 후회하고 영서(永西)는 배우가 되지 못함을 후회하니라.” 이 때 갑자기 남기는 유창하게 일본말을 하고 영서는 상복을 입은 채 상건을 흔들며 일어나서 노래하고 춤추고 상복 소매로 북치는 시늉을 해 보이며 땀을 뻘뻘 흘리고 있느니라. 상제께서 이를 보시고 웃으며 가라사대 “남기의 말은 일본사람과 틀림 없고 영서의 재주는 배우 중에서도 뛰어나니라” 하시니 두 사람이 비로소 정신을 차리고 부끄러워하느니라. 그제야 상제께서 타이르시기를 “대인을 배우는 자는 헛된 일을 하지 않느니라” 하셨도다.


30. 훼동도자(毁東道者)는 무동거지로(無東去之路)하고 훼서도자(毁西道者)는 무서거지로(無西去之路)하니라”고 류찬명(柳贊明)에게 이르셨도다.


31. 또 공우의 성질이 사나와서 남과 자주 다투기에 하루는 상제께서 공우에게 “너는 표단이 있으니 인단으로 가름하라”고 말씀하시고 난 뒤로는 성질이 누그러지고 남에게 이기려고 하지 않고 다시 다투지 아니하였도다.


32. 김광찬은 동곡에 있으면서 상제께서 차경석과 상종하시는 것을 과히 좋게 생각하지 않으니라. 그는 경석이 본래 동학당이고 일진회에 참가하여 불의한 일을 많이 행하였을 터인 데도 이제 그를 도문에 들여놓은 것은 상제의 공평하지 못하심이라고 불평하고 때로는 우리가 도덕을 힘써 닦아온 것이 모두 허탕이 되리라고 상제를 원망하기도 하기에  형렬이 상제를 배알하여 그 사유를 고하리라고 말하여 그를 위로하였도다. 어느 날 형렬이 광찬을 데리고 상제께 배알하였으나 모두 그 사유를 고하지 못하고 오후에 돌아가려 할 때에 상제께서 광찬에게 “주인은 김형렬이 좋으니 동곡에 가서 있어라” 일러주시고 형렬을 따로 불러 가만히 “광찬을 데리고 집에 돌아가서 잘 위로하여 주라”고 일러 보내셨도다.


33. 현하의 대세가 씨름판과 같으니 아기판과 총각판이 지난 후에 상씨름으로 판을 마치나니라.


34. 상제께서 경석에게 가르치시기를 “모든 일이 욕속부달(欲速不達)이라. 사람 기르기가 누에 기르기와 같으니 잘 되고 못 되는 것은 다 인공에 있느니라.”


35. 믿기를 활을 다루듯이 하라. 활을 너무 성급히 당기면 활이 꺾어지나니 진 듯이 당겨야 하느니라.


36. 상제께서 종도들에게 가르치시기를 “하늘이 사람을 낼 때에 헤아릴 수 없는 공력을 들이니라. 그러므로 모든 사람의 선령신들은 육십년 동안 공에 공을 쌓아 쓸만한 자손 하나를 타 내되 그렇게 공을 드려도 자손하나를 얻지 못하는 선령신들도 많으니라. 이 같이 공을 드려 어렵게 태어난 것을 생각할 때 꿈같은 한 세상을 어찌 잠시인들 헛되게 보내리요” 하셨도다.


37. 이제 너희들에게 다 각기 운수를 정하였노니 잘 받아 누릴지어다. 만일 받지 못한 자가 있으면 그것은 성심이 없는 까닭이니라.


38. 상제께서 종도들에게 “운수는 열려도 자신이 감당치 못하면 본 곳으로 되돌아 가기도 하고 혹시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기도 하리라. 잘 믿을 지어다”고 경고하셨도다.


39. 공사의 일꾼이 된 자는 마땅히 씨름판을 본 따를지니 씨름판에 뜻을 두는 자는 반드시 판 밖에서 음식을 취하고 기운을 길렀다가 끝 판을 벼르느니라.


40. 사람을 쓸 때는 남녀 노약을 구별하지 않으니라. 그러므로 진평(陣平)은 야출동문 여자 이천인(夜出東門女子二千人)이라 하였느니라.


41. 상제께서 공사하신 일을 어떤 사람이 “증산(甑山)께서 하는 일은 참으로 폭 잡을 수 없다” 말하거늘 상제께서 들으시고 가라사대 “대인의 일은 마땅히 폭을 잡기 어려워야 하나니 만일 폭을 잡힌다면 어찌 범상함을 면하리오” 하셨도다.


42. “동학가사(東學歌詞)에 세 기운이 밝혔으니 말은 소․장(蘇秦 張儀)의 웅변이 있고 앎은 강절(康節)의 지식이 있고 글은 이.두(李太白杜子美)의 문장이 있노라” 하였으니 “잘 생각하여 보라”고 이르셨도다.


43. 속담에 “맥 떨어지면 죽는다” 하나니 연원(淵源)을 바르게 잘 하라.


44. 속담에 “무척 잘 산다” 이르나니 이는 척이 없어야 잘 된다는 말이라. 남에게 억울한 원한을 짓지 말라. 이것이 척이 되어 보복하나니라. 또 남을 미워하지 말라. 사람은 몰라도 신명은 먼저 알고 척이 되어 갚나니라.


45. 또 상제께서 “춘무인(春無仁)이면 추무의(秋無義)라. 농가에서 추수한 후에 곡식 종자를 남겨 두나니 이것은 오직 토지를 믿는 연고이니라. 그것이 곧 믿는 길이니라” 하셨도다.


46. 이웃 사람이 주는 맛 없는 음식을 먹고 혹 병이 생겼을지라도 사색을 내지 말라. 오는 정이 끊겨 또한 척이 되나니라.


47. 고부(古阜)는 예절을 찾는 구례(求禮)이니라.


48. “바람이 불었다가도 그치느니라.(風易吹而息)” 하듯이 움직이고 가만히 있는 것은 다 때가 있느니라.


49. 한신(韓信)은 한 고조(韓高祖)의 퇴사 식지(堆食食之)와 탈의 의지(脫衣衣之)의 은혜에 감격하여 괴철(蒯徹)의 말을 듣지 아니하였으나 이것은 한신이 한 고조를 저버린 것이 아니오 한 고조가 한신을 저버린 것이니라.


50. 한 고조는 소하(蕭何)의 덕으로 천하를 얻었나니 너희들은 아무 것도 베풀 것이 없는지라. 다만 언덕(言德)을 잘 가져 남에게 말을 선하게 하면 그가 잘 되고 그 여음이 밀려서 점점 큰 복이 되어 내 몸에 이르고 남의 말을 악하게 하면 그에게 해를 입히고 그 여음이 밀려와서 점점 큰 화가 되어 내 몸에 이르나니 삼갈지니라 하셨도다.


51. 대학(大學)에 “물유본말하고 사유종시하니 지소선후면 즉근도의(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卽近道矣)”라 하였고 또 “기 소후자에 박이오 기 소박자에 후하리 미지유야(其所厚者薄 其所薄者厚 未之有也)”라 하였으니 이것을 거울로 삼고 일하라.


52. “위천하자(爲天下者)는 불고 가사(不顧家事)”라 하였으되 제갈량(諸葛亮)은 유상 팔백주(有桑八百株)와 박전 십오경(薄田十五頃)의 탓으로 성공하지 못하였느니라.


53. 생각에서 생각이 나오나니라.


54. 상제께서 “양이 적은 자에게 과중하게 주면 배가 터질 것이고 양이 큰 자에게 적게 주면 배가 고플 터이니 각자의 기국(器局)에 맞추어 주리라”고 말씀하셨도다.


55. 지난 선천 영웅시대는 죄로써 먹고 살았으나 후천 성인시대는 선으로써 먹고 살리니 죄로써 먹고 사는 것이 장구하랴, 선으로써 먹고 사는 것이 장구하랴. 이제 후천 중생으로 하여금 선으로써 먹고 살 도수를 짜 놓았도다.


56. 천존과 지존보다 인존이 크니 이제는 인존시대라. 마음을 부지런히 하라.


57. 상제께서 하루는 공사를 행하시고 “대장부(大丈夫) 대장부(大丈婦)”라 써서 불사르셨도다.


58. 후천에는 계급이 많지 아니하나 두 계급이 있으리라. 그러나 식록은 고르리니 만일 급이 낮고 먹기까지 고르지 못하면 어찌 원통하지 않으리요.



T. 010-3402-1567 E. lifeyou11@naver.com Copyright © jingo.co.kr. All rights reserved .